Cryptography
암호학 2주차 스터디
말뚝_2
2014. 9. 27. 04:53
관용암호, 스트림 암호, 블록 암호화 방식에 대한 각각의 정리, 소개
관용 암호
-대칭키 암호 방식, 공통키 암호화 방식, 비밀키 암호화 방식이라고도 한다.
-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암호화 방식을 통틀어 말한다.
-평문을 전자와 환자를 조합하여 암호화 하는 방식이다.
-알고리즘의 동작 속도가 빠르고, 키의 길이가 공개키 암호 시스템에 비해 짧다
-크게 블록암호와 스트림 암호 두종류로 구분된다
-송신자가 평문을 암호키로 암호화한 암호문을 수신자에게 보내면,
수신자는 수신한 암호문을 복호키를 사용해서 복호화하여 평문을 얻는다.
-암호화키를 알면 복호화 키를 알아낼 수 있어 수신자에게 키를 알려주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.
-> 이는 암호화키와 복호화 키가 같거나, 알고리즘의 역연산을 통해 거꾸로 계산하여 쉽게 복호화 키를 알아낼 수 있기 때문 => 전주 아핀암호를 통해 봤었음.
블록 암호
-어느 특정 비트수의 집합을 한번에 처리하는 암호 알고리즘 방식
-평문을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잘라낸 후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한다
-DES,AES 방식
스트림 암호
-평문과 같은 길이의 문자 데이터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처리해가는 암호 알고리즘 방식
-평문과 키 스트림을 XOR 하여 암호를 생성한다.
-rc4,LFSR방식